반응형
기술수용이론(TAM, Technology Acceptance Model)은 사용자들이 특정 기술이나 시스템을 수용하고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이론적 프레임워크입니다. 이 모델은 Fred Davis(1989)에 의해 제안되었으며, 조직에서 새로운 기술의 수용 및 활용을 예측하고 이해하는 데 널리 활용됩니다.
1. 주요 개념과 정의
- 지각된 유용성(Perceived Usefulness, PU):
- 사용자가 특정 기술이나 시스템이 자신의 업무 성과를 향상시킬 것이라고 믿는 정도를 의미합니다.
- 예: "이 시스템은 내 작업 속도를 증가시킬 것이다."
- 지각된 용이성(Perceived Ease of Use, PEOU):
- 사용자가 특정 기술이나 시스템을 배우고 사용하는 것이 쉽다고 믿는 정도를 의미합니다.
- 예: "이 시스템은 사용하기 쉽다."
- 태도(Attitude Toward Using):
- 기술이나 시스템에 대해 사용자가 가지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감정.
- PU와 PEOU가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칩니다.
- 행동 의도(Behavioral Intention, BI):
- 사용자가 특정 기술이나 시스템을 실제로 사용하려는 의도를 나타냅니다.
- 태도와 PU가 BI에 영향을 미칩니다.
- 실제 사용(Actual Use):
- 기술이나 시스템의 실제 사용 여부와 빈도를 나타냅니다.
2. TAM의 구조와 흐름
TAM은 주요 개념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경로를 제시합니다:
- PEOU → PU: 기술이 사용하기 쉬울수록 유용하다고 느낄 가능성이 높음.
- PU → 태도 → BI → 실제 사용: 기술이 유용하다고 느낄수록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고, 이는 행동 의도와 실제 사용으로 이어짐.
- PEOU → 태도 → BI → 실제 사용: 사용 용이성이 태도와 행동 의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사용에 영향을 미침.
3. 확장된 기술수용이론
TAM은 이후 연구에서 다양한 변수와 상황을 추가로 고려한 확장 모델로 발전하였습니다.
- TAM 2 (Venkatesh & Davis, 2000):
- 사회적 영향(Social Influence)과 인지된 통제(Perceived Control) 등을 추가하여 기술 수용 과정을 더욱 세밀히 설명.
- 통합기술수용 및 활용모델(UTAUT,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):
- TAM을 기반으로 사회적 영향, 성과 기대, 노력 기대 등 추가 변수를 포함하여 기술 수용을 더욱 포괄적으로 설명.
4. TAM의 연구 및 적용 분야
- 정보시스템(IS) 연구:
- 기업의 새로운 소프트웨어, ERP 시스템, CRM 도구 등의 도입 효과 분석.
- 교육 기술:
- 온라인 학습 플랫폼, 디지털 교재, AR/VR 기술의 수용과 효과 분석.
- 모바일 및 IoT 기술:
- 스마트폰, 스마트홈 기기,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 의도 연구.
- 의료 분야:
- 전자의료기록(EMR), 원격의료 시스템 등 기술의 활용 연구.
5. 실무적 시사점
- 기술 도입 시 사용자 교육을 통해 PEOU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기술이 업무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것을 입증하여 PU를 강화해야 합니다.
- 초기 단계에서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태도와 행동 의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
6. 이론적 시사점
- TAM은 기술 수용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제공하며, 다양한 상황에 적응 가능한 유연성을 가지고 있습니다.
- 그러나 상황적 요인이나 문화적 차이에 따라 TAM의 설명력이 제한적일 수 있어, 확장 연구가 필요합니다.
7. 참고문헌
- Davis, F. D. (1989). Perceived usefulness, perceived ease of use,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. MIS Quarterly, 13(3), 319–340. https://doi.org/10.2307/249008
- Venkatesh, V., & Davis, F. D. (2000).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: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. Management Science, 46(2), 186–204. https://doi.org/10.1287/mnsc.46.2.186.11926
반응형
댓글